오늘보다

  • 칼럼
  • 2015/08 제7호

엄마의 눈으로 본 여성해방

  • 호성희 사회진보연대 서울지부 회원
《하늘의 절반: 중국 혁명과 여성해방》(동녘, 1985)은 ‘하늘의 절반’을 떠받치고 있는 여성들의 해방을 위해 중국 혁명가들이 어떤 고민과 실험을 했는지 기록한 책이다. 
사회진보연대 ‘엄마 회원들’이 모인  ‘맘 독서모임’에서 이 책을 함께 읽고 토론한 후기를 보내 왔다. 
 
나는 좌충우돌하는 두 아이의 엄마다. 육아가 내 삶에 가져온 변화는 엄청나다. 불량엄마 축에 속하는 나조차도 걱정 대마왕이 된다. 애들뿐 아니라 나도 건강해야 하고, 애들 클 때까지는 죽어서도 안 된다. 물론 출산과 육아의 경험이 주는 기쁨도 많지만, 그럼에도 “아이가 언제 가장 사랑스럽나요?”라는 질문에 부동의 1위를 유지하는 답변은? “잠잘 때”이다. 

서울, 경기, 인천 등 그리 가깝지 않은 지역의 엄마회원들이 어렵게 모이는 날이면, 모임을 시작하기도 녹록치가 않다. 도착하자마자 기저귀 갈기, 이유식 먹이기, 수유하기 등 각자의 아이를 달래느라 바쁘기 때문이다. 이 정신없는 모임이 그나마 유지되고 있는 건 엄마들의 의지와, 모임을 준비하는 활동가들의 노력 덕분이다. 
 

가사노동의 사회화란 무엇인가

《하늘의 절반》은 1971년 11월 프랑스 여성공산당원들이 중국을 시찰하며, 중국의 문화혁명 과정에서 이루어진 가사노동과 모성기능의 사회화, 가족의 변화를 프랑스의 현실과 비교 관찰한 내용의 책이다. 나는 이 책을 그전에도 수차례 읽었음에도 이번처럼 ‘무진장’ 재밌게 읽은 적은 없었다. 그것은 결혼 전 그 어떤 가사노동에서도 자유로웠던(실상은 엄마에게 떠넘겨왔던) 내가 결혼과 출산을 경험하며, 현실을 더 생생하게 되새겨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가족의 여러 기능을 해체하라고 주장하는 것은 혁명가라면 너무도 당연한 일이지만, 어떻게 하여 또 무엇에 의해 그것들을 대체할 것인가? 이것은 다른 문제이다.
…사회주의란 지루하고 하찮은 일에 더 많은 보수를 지불하는데 있는 것도 아니고, 또 그러한 일을 일부의 전문가들에게 맡기는 데 있는 것도 아니다. 사회주의는 그 노동의 지루하고 하찮고 어처구니없는 측면을 제거하는 데 있다. 어떠한 영역의 노동에서든 그와 같은 면을 모두 제거할 수 없을 경우에는 그것을 일부 사람들의 손에 집중시킬 것이 아니라 반대로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에게 분산시키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각자가 조금씩 분담하게 되고, 그 노동에 예속되는 사람은 아무도 없게 된다.(62~63쪽)

읽을 때마다 무릎을 치는 대목이다. 중국 혁명이 시도했던 ‘가사노동의 사회화’가 현재는 그 흔적조차 사라지고 자본주의적 방식으로 회귀되었다 하더라도, 당시 혁명가들의 고민과 목표는 현재의 가정과 직장의 양립 및 육아정책, 교육정책에 시사점을 주는 바가 적지 않다.
 

육아 분담의 노력은 반드시 필요해

나는 남들이 부러워하는 조건을 두루 갖췄다. 육아를 도와줄 친정엄마가 가까이 살고, 남편과 가사 및 육아분담도 잘 되는 편이다. 그럼에도 24시간 일하고 있다는 느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밥해주는 남편이 있지만, 해도 티가 안 나는 자질구레한 가사는 끝이 없기 때문이다. 육아 잘하기로 동네에 소문난 남편(애들을 재우기 위해 안고 태우고 밤늦도록 아파트를 도는 덕에 나는 아무것도 안하는 팔자 좋은 아줌마로 소문나 있다)을 두고 있지만, 잠자는 아이의 작은 뒤척임에 자리를 살피고 새벽 2시든 3시든 또 그게 몇 번이든 분유를 타 먹이고 재우는 일은 내 몫이다. 최선을 다하는데도 늘 아이들에겐 미안한 마음이 들곤 한다. 

가족 내 분담만으론 역시 한계가 있고, 현실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없다. 그럼에도 이것이 최종적인 목표가 아닌 한에서는 분담의 노력을 해야 한다. 꼭! 혁명의 그날은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팔짱끼고 기다린다고 오지 않는다. 불충분한 조치라고 하지 말아야 할 것은 아니란 말이다. 
 

꿈과 열망을 가진 엄마 되기

아이들은 부모의 것도 국가의 것도 아니고, 아이들 자신의 것이다.(105쪽, 크루프스카야가 했던 말을 재인용한 것)
 
어머니들에게, 실로 모든 어머니들에게, 죄의식을 심어 줌으로써, 부르주아에게 참으로 바람직한 복종과 의존의 이데올로기가 유지된다. 어머니들은 사회의 의도대로 아이를 기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사회는 아이라는 매개를 통하여 그 의도대로 어머니들을 교육한다. 아이는 어머니를 그 어머니로서의 역할 속에 가두어 두기 위한 억압의 한 수단이다. 아이가 고의로 어머니를 억압한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는 않지만, 아이는 여성에게 순교자적 사명을 무리하게 강요하는 모든 종류의 꿈과 욕망과 신화의 기둥이 되고 있다.(102쪽)

“아이가 어떻게 자라면 좋겠어?”라고 물으면, 나는 “꿈을 가진 사람으로 자랐으면 좋겠어”라고 대답한다. 이 역시 내가 하지 못한 일을 아이에게 기대하는 것임은 분명하다. 제법 많은 육아서를 읽으면서 내가 잠정적으로 내린 결론은 아이의 성장은 엄마의 성장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과외도 학원도 보낼 돈이 없으니, 아이가 그나마 저렴한(?) 책을 읽고 알아서 잘 자랐으면 좋겠다는 바람은 내가 책을 읽는 사람이 되어야 가능했고, 아이에게 바라는 그 어떤 것들은 부모가 그 바람을 내려놓아야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아이가 내 세상의 전부가 아니어야 한다. 그래서 나는 오늘도 꿈과 변화의 열망을 가진 엄마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맘 독서모임이 서로에게 그런 성장을 지지하는 모임이 되었으면 좋겠다.●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향한 우리의 전망, 오늘보다
정기구독
태그
사회운동학교 사회진보연대 교육운동 교육프로그램 노동자교육 대중교육
관련글
홈리스 운동을 일구는 부지런한 발걸음
세월호 사고를 통해 드러난 구조적 문제와 노동안전 과제
케이블 비정규직 노동자,세상 속으로 한 걸음